.. _cmmIntReadFlag: cmmIntReadFlag ======================== ------------------------ SYNOPSIS ``````````` .. code-block:: none VT_I4 cmmIntReadFlag( [out] VT_PI4 IntFlag1, [out] VT_PI4 IntFlag2 ) DESCRIPTION ``````````````` - 각 축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를 반환합니다. 반환된 값의 각 비트값이 1 이면 해당 축에 인터럽트가 발생된 것임을 의미합니다. 실제 구현 코드에서는 개별적으로 cmmIntReadErrorStatus() 와 cmmIntReadEventStatus() 를 사용해서도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다만 여러축의 인터럽트 상태를 확인할 때에는 cmmIntReadFlag()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처리속도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합니다. PARAMETER ``````````` - IntFlag1 : 하위 32 축에 대한 비트 값 논리합 \ - IntFlag2 : 상위 32 축에 대한 비트 값 논리합 .. csv-table:: :widths: 10 85 :header-rows: 1 :stub-columns: 0 BIT No., Meaning BIT0, 0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1, 1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2, 2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3, 3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4, 4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5, 5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6, 6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BIT7, 7 번 축의 인터럽트 발생 여부. 0=>발생안함, 1=>인터럽트 발생 RETURN VALUE ````````````` .. csv-table:: :widths: 10 85 :header-rows: 1 :stub-columns: 0 Value, Meaning 음수, 수행 실패 cmERR_NONE, 수행 성공 REFERENCE ``````````` - Visual Basic 에서는 비트마스킹이 용이하지 않습니다. CMMSDK 에서 제공하는 cmmGnBitShift() 함수를 사용하면 Visual Basic 에서도 비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